본문 바로가기
aws

AWS Route 53 & 가비아 도메인 연결

by WhoamixZerOne 2025. 3. 11.

AWS Route 53

Amazon Route 53는 가용성과 확장성이 뛰어난 도메인 이름 시스템(DNS, Domain Name System) 웹 서비스이다.

도메인 구입과 네임서버(NS) 등록까지 할 수 있고 게다가 모니터링 기능까지 제공한다.

 

Route 53은 프리 티어 사용자여도 무료가 아니다. 호스팅 영역을 생성하면 월 0.50 USD를 지불해야 한다.

https://aws.amazon.com/ko/route53/pricing/

 

Route 53에서 도메인을 구입하지 않고 가비아에서 도메인을 구매한 상태에서 글을 작성한다.

1. Route 53 이동

https://aws.amazon.com

route 53을 검색해서 Route 53 페이지로 이동한다.

2. 호스팅 영역 생성

호스팅 영역은 DNS 레코드를 관리하는 컨테이너이다. 도메인 이름을 설정하면, 이 도메인에 대한 여러 설정 정보를 호스팅 영역에 추가한다. 이런 레코드들은 주로 A 레코드, CNAME 레코드, NS 레코드, SOA 레코드, MX 레코드 등이 있다.

  • A 레코드 : 도메인 이름을 특정 IP 주소와 연결
  • CNAME 레코드 : 도메인 이름을 다른 도메인 이름에 연결
  • NS 레코드 : 네임서버를 지정하는 레코드
  • SOA 레코드 : 도메인의 정보를 담고 있는 레코드

https://aws.amazon.com
https://aws.amazon.com
https://aws.amazon.com

호스팅 영역 생성을 완료하면 도메인 이름에 대한 레코드 2개가 자동으로 생성된다.

NS 레코드 (Name Server Record)
도메인의 DNS 레코드를 관리하는 서버를 정의하는 역할을 한다.
도메인 이름을 다른 서버에 연결하기 위해, 어디서 DNS 요청을 처리할지 알려주는 정보이다.

SOA 레코드 (Start of Authority Record)
도메인의 DNS 설정에 대한 시작점을 나타내는 중요한 레코드이다. 해당 도메인의 DNS 설정을 책임지는 권한 있는 DNS 서버와 관련된 정보를 담고 있다.
주로 DNS 서버의 기본 정보, 동기화 주기, 도메인의 관리 책임자 이메일 주소 등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NS에 해당하는 도메인의 값/트래픽 라우팅 대상 4개를 가비아 도메인 설정에 등록해야 한다.

※ 주의할 점은 도메인의 값/트래픽 라우팅 대상 4개 모두 끝에 "."(맨 뒤의 점)이 붙어있다. 이 점을 지우고 가비아에 등록해야 한다.

3. 가비아 네임서버 설정

https://www.gabia.com/

마이페이지> 도메인 관리 > 네임서버 설정을 통해 4개의 값을 등록한다. 맨 뒤의 점(.)은 꼭 빼고 넣어줘야 한다.

네임서버를 등록하고 "소유자 인증"을 하고 적용을 해야 완전히 적용이 된다.

4. A 레코드 생성

https://aws.amazon.com

Route 53 페이지로 돌아와 레코드 버튼을 눌러 A 레코드를 생성한다.

레코드 이름에는 서브 도메인명을 적는데 비워 두면 루트 도메인으로 생성이 되고 "asterisk(*)" 와일드카드(wildcard)를 사용하면 모든 하위 도메인에 대해 유효하게 된다. 즉, "sub.example.com", "api.example.com", "anything.example.com" 등 모든 서브 도메인에 대해 동일한 설정이 적용된다.

 

레코드 유형은 A를 선택하고 값에는 EC2 Public IP를 적어주고 레코드를 생성한다.

 

 

 

🔗 Reference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EC2 Amazon Linux 2023 Java 설치  (0) 2025.03.05
AWS EC2 구축 세팅(프리 티어)  (1) 2025.01.31
AWS 프리티어 계정 생성(회원 가입)  (0) 2025.01.29